<使動的表示>
使動=>主語指使別人進行動作的文法功能。
# 主動: 主語直接參與動作.
例> 철수가 책을 읽었다. (主動態(tài)) =>(선생님께서) 철수에게 책을 읽히셨다. (使動態(tài))
얼음이 녹는다. (主動態(tài)) => (난롯불이) 얼음을 녹인다. (使動態(tài))
철수가 짐을 졌다. (主動態(tài)) => (아버지가) 철수에게 짐을 지웠다. (使動態(tài))
使動態(tài)的特征
⑴ 與主動態(tài)語句比較文章成分被變化. 即;主動態(tài)語句中的主語在使動態(tài)句子中變成壯語,而且新出現(xiàn)主語
⑵ 動詞變?yōu)槭箘釉~
⑶ 部分謂詞重疊使用兩個使動接詞尾. (雙重使動)
例> 서다 → 서이우다 → 세우다. 자다 → 자이우다 → 재우다.
뜨다 → 뜨이우다 → 띄우다. 차다 → 차이우다 → 채우다.
⑷ 特殊的使動接尾詞
예> 없다 → 없애다. (-애-) 젖다 → 적시다. (-시-)
使動文的分支
⑴ 派生法使動文
→ ① 動詞上結(jié)合使動接尾詞’-이-,-히-,-리-,-기-,-우-,-구-,-추-’實現(xiàn)的使動文。
② 派生法使動文極為有限,只有一小部分的動詞和形容詞中出現(xiàn)。
③ 使動詞 :
늘이다(加大), 끓이다(熬),
높이다(提高), 좁히다(變窄),
괴롭히다(折磨), 둥글리다(弄圓),
살리다(救活), 남기다(剩),
웃기다(弄笑), 굶기다(餓),
숨기다(藏匿), 비우다(倒空),
깨우다(叫醒), 가리우다(遮擋),
달구다(燒紅), 일구다(開墾),
솟구다(上涌), 돋구다(提升),
갖추다(備下), 늦추다(減緩),
맞추다(猜)…
使動=>主語指使別人進行動作的文法功能。
# 主動: 主語直接參與動作.
例> 철수가 책을 읽었다. (主動態(tài)) =>(선생님께서) 철수에게 책을 읽히셨다. (使動態(tài))
얼음이 녹는다. (主動態(tài)) => (난롯불이) 얼음을 녹인다. (使動態(tài))
철수가 짐을 졌다. (主動態(tài)) => (아버지가) 철수에게 짐을 지웠다. (使動態(tài))
使動態(tài)的特征
⑴ 與主動態(tài)語句比較文章成分被變化. 即;主動態(tài)語句中的主語在使動態(tài)句子中變成壯語,而且新出現(xiàn)主語
⑵ 動詞變?yōu)槭箘釉~
⑶ 部分謂詞重疊使用兩個使動接詞尾. (雙重使動)
例> 서다 → 서이우다 → 세우다. 자다 → 자이우다 → 재우다.
뜨다 → 뜨이우다 → 띄우다. 차다 → 차이우다 → 채우다.
⑷ 特殊的使動接尾詞
예> 없다 → 없애다. (-애-) 젖다 → 적시다. (-시-)
使動文的分支
⑴ 派生法使動文
→ ① 動詞上結(jié)合使動接尾詞’-이-,-히-,-리-,-기-,-우-,-구-,-추-’實現(xiàn)的使動文。
② 派生法使動文極為有限,只有一小部分的動詞和形容詞中出現(xiàn)。
③ 使動詞 :
늘이다(加大), 끓이다(熬),
높이다(提高), 좁히다(變窄),
괴롭히다(折磨), 둥글리다(弄圓),
살리다(救活), 남기다(剩),
웃기다(弄笑), 굶기다(餓),
숨기다(藏匿), 비우다(倒空),
깨우다(叫醒), 가리우다(遮擋),
달구다(燒紅), 일구다(開墾),
솟구다(上涌), 돋구다(提升),
갖추다(備下), 늦추다(減緩),
맞추다(猜)…